지역뉴스Home >  지역뉴스 >  영남
-
대구·경북의 자랑 ‘팔공산 ’, 국립공원으로 승격
팔공산도립공원이 23번째 국립공원으로 승격됐다. 환경부는 23일 제138차 국립공원위원회를 열고 ‘팔공산국립공원 지정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2021년 5월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가 환경부에 팔공산국립공원 지정을 건의한 지 2년만, 1980년 5월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이후 43년만에 국립공원으로 승격된다. 국립공원으로는 지난 2016년 8월 태백산도립공원이 22번째로 승격한 뒤 7년 만이다. 2021년 9월부터 이듬해 10월까지 진행한 지정 타당성 조사에 따르면 팔공산은 자연생태계와 자연경관, 문화경관 측면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붉은박쥐·매·수달 등 멸종위기종 15종을 포함해 야생생물 5296종이 서식하고 있다. 산봉 39곳과 기암 10곳, 계곡 19곳 등 자연경관자원도 77곳 분포해 있다. 특히 국가지정문화재 30점, 지방지정문화재 61점, 등록문화재 1점 등 문화자원 92점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는다. 팔공산은 북한산 다음으로 가장 풍부한 문화자원을 보유한 국립공원이 될 전망이다. 도립공원에서 국립공원으로 승격되면서 팔공산 공원구역 면적은 125.232㎢에서 126.058㎢로 0.826㎢(0.7%) 늘었다. 용도지구별로는 ‘공원자연환경지구’가 91.241㎢로 전체의 72.4%를 차지했으며 ‘공원자연보존지구’ 29.356㎢(23.3%), ‘공원마을지구’ 1.395㎢(1.1%), ‘공원문화유산지구’ 4.066㎢(3.2%)다. 국립공원 승격으로 보전 가치와 이용 가치가 상승함으로써 발생하는 경제적 가치는 2479억원으로 평가됐다. 팔공산을 찾는 탐방객은 358만명에서 458만명으로 28% 증가할 것으로 환경부는 내다봤다. 늘어나는 탐방객을 수용할 수 있도록 탐방로와 화장실, 주차장 야영장 등 13곳을 추가하면 총 115곳의 공원시설이 마련된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은 지난 2일 팔공산국립공원 관리준비단을 발족했으며 올해 하반기에는 지역사회와 함께 국립공원 승격 기념식을 개최하고 대구시·경북도와 공원관리 업무 인수·인계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오늘은 대구·경북 지역주민들 뿐만 아니라 국민들에게 새로운 국립공원을 선사하는 역사적인 날이다”며 “팔공산의 국립공원 지정을 통해 체계적인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 지역 발전이 조화를 이루는 공원관리의 본보기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
경남도 박완수 도지사, 후쿠시마 오염수 적극 대응 주문
<사진=경남도> [뉴스탑10 김인환 기자] 박완수 경상남도지사는 22일 오전 도청에서 실국본부장회의를 주재했다. 박 도지사는 “후쿠시마 오염수가 방류되면 지리적으로 가깝고 수산업의 중심지인 경남이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된다”며 “정부시찰단 활동과 연계해서 도의 입장과 대책을 알리고 적극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입학생 감소와 재정 부실을 겪고 있는 지방대학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과 관련해서는 “경남도가 대학 구조조정과 혁신을 이끌어내 대학들이 산업인력을 지속 육성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며 “현장의 애로사항을 듣고 전문가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해 대책을 논의하는 한편, 정부의 의대정원 확대계획에도 더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을 주문했다. 또, 지난주 김해 오수관 준설 중 발생한 사망 사고에 대해 안타까움을 표하며 “밀폐공간에서 작업 시 사전점검, 장비착용 등이 반드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해서, 두번 다시 이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건널목이 교차로에 붙어있어 우회전 차량 사각지대에 있는 어린이들이 사고를 많이 당하는 문제를 지적하며, 보행자 건널목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주문했다. 거제시가 노후‧파손된 목조 거북선을 경매로 헐값 매각한 것과 관련해 “관광자원 조성을 위해 거액의 예산을 투입해놓고 문제가 있다고 팔아버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수선을 해서 목적대로 사용하도록 했어야 했다”며 지자체의 조형물과 시설물들이 본연의 목적을 다할 수 있도록 철저히 관리할 것을 주문했다. 지자체가 투자유치와 지역개발을 위해 민간과 협약을 체결하거나 채무 보증을 하는 경우 신중을 기할 것을 당부했다. “업무미숙이나 밀실협약으로 지자체가 불리한 계약을 하거나 과도한 재정책임을 지는 사례가 없어야 한다”며 “철저한 분석과 전문가 자문을 반드시 거치도록 제도를 개선할 것”을 지시했다. 또한, 박 도지사는 도민에게 도움을 주고 실속 있는 사업들이 추진될 수 있도록 기재부, 국회 등을 대상으로 국비 확보에 만전을 기할 것을 주문하며, 우주항공청 설치 특별법 통과, 남해안 관광진흥 특별법 제정에도 힘쓸 것을 당부했다. 이어 시군의 대정부 건의활동을 도가 뒷받침할 것을 주문하며 “시군이 각개전투로만 나서면 전체적인 지역발전에 배치될 우려도 있다. 공공기관 이전, 케이블카 설치 등 현안에 대해 도가 조정자 역할을 하기 위해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올해에도 정어리떼 폐사 가능성이 나오고 있는 만큼, 해외 자원화 사례를 참고하고 시군, 유관기관과 협력할 것을 당부했다. 끝으로, 감사원과 행안부에서 민간단체 보조금 감사를 실시한 결과 도내에서도 일부 지적사례가 있었다며, 도민의 세금이 부정하게 집행되지 않도록 지도‧감독에 철저를 기할 것을 주문했다.
-
경남 ‘금실’ 딸기, 수출 주역으로 급성장!
신선 딸기 수출 600억 원 시대, 이중 경남은 약 90%를 점유하고 있으며, 1990년대부터 경남도·시군 지원체계와 농업인의 열정이 이루어낸 성과이다. 딸기는 해외에서 한국을 상징하는 대표 농산물 중 하나이며, 새콤달콤한 풍미와 함께 희소가치가 더해져 프리미엄 K-푸드로 인식되고 있다.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일본 딸기를 수출했지만 2010년대는 국산 딸기 '매향'으로 바뀌었고, 2020년 이후에는 '금실' 딸기가 수출의 70%(400억 원)를 차지할 정도로 급격히 변화되었다. 금실 딸기는 경남농업기술원이 2016년 개발하였으며 당도가 높고 단단하며 11월부터 수확된다. ■ 수출을 위해 품종 개발 이전의 수출 딸기 ‘매향’은 당도가 높고 저장성은 좋으나, 수출이 본격화되는 1~2월에 기형과가 생겨 수출 물량 확보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수출 딸기와 같은 수준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기형과 발생이 적고 수량성이 높은 금실 딸기를 개발하여, 수출 농가에 보급하였다.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재배 매뉴얼을 3차 개정판까지 보급하면서 재배농가와 정보를 공유하였고, 양액처방, 현장 자문도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 현장에서도 적정 익힘 정도, 포장기술, 예냉방법 등을 품종 특성에 맞게 점차 개선해 나갔다. 이러한 노력으로 금실 딸기의 수출 점유율은 2020년 13%에서 2022년 70%까지 증가하였다. 경남도는 품종 보급을 위하여, 매년 무병 원원묘를 분양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8개 육묘업체와 438만 주의 통상실시 계약을 하였다. 또한 경남도, 농촌진흥청 시범사업도 실시중이다. 현재 전국에 440ha가 재배되고 있으며 200ha는 수출용이고 그 외는 내수용이다. ■ 로열티 비용?…로열티 받는 나라 금실 딸기는 미국 업체와 로열티(품종을 생산, 판매할 때 보호권자에게 지급되는 댓가) 계약을 체결하여, 2030년까지 88ha의 재배를 허락하고, 계약금 3천만 원과 한 포기당 15원의 정률 기술료(러닝로열티)를 받는다. 계약 조항에는 국내 딸기 농가를 보호하기 위해 한국 또는 한국이 수출하는 나라로는 수출을 금지하고, 미국 농림부에 품종보호권을 등록할 것을 명시하였다. 금실은 올해 4월, 미국 농림부에 품종보호권(권리자 경상남도)이 등록되었으며, 이는 국내 농작물 중 최초 사례이다. 미국과 계약자는 유리병에 든 손톱만 한 새끼 묘 10포기를 가지고 3년간의 고생 끝에 까다로운 검역 과정을 통과했다. 올해 첫 재배를 하여 LA, H-MART에서 시식회를 한 결과, 매우 긍정적인 시장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본격적으로 대량생산을 준비 중이다. 이제 금실은 딸기의 종주국인 미국, 일본과도 세계 무대에서 당당히 경쟁하게 되었다. 경상남도농업기술원(원장 정찬식)은 금실 딸기의 국내외 인기에 힘입어 재배면적이 확대됨에 따라, 무병 원원묘 공급량을 40% 증가시켜 무병모주 부족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계획이다. 농업기술원 윤혜숙 원예연구과장은 “수출에서 특히 문제가 되는 저온기 착색 불량과 월별 적정 수확 숙도 규명은 연구비를 확보하여 해결할 예정이며, 나아가 저온 유통 구축 등 안정적인 수출 기반 조성에 필요한 정책지원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
대구·경북의 자랑 ‘팔공산 ’, 국립공원으로 승격
- 팔공산도립공원이 23번째 국립공원으로 승격됐다. 환경부는 23일 제138차 국립공원위원회를 열고 ‘팔공산국립공원 지정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2021년 5월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가 환경부에 팔공산국립공원 지정을 건의한 지 2년만, 1980년 5월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이후 43년만에 국립공원으로 승격된다. 국립공원으로는 지난 2016년 8월 태백산도립공원이 22번째로 승격한 뒤 7년 만이다. 2021년 9월부터 이듬해 10월까지 진행한 지정 타당성 조사에 따르면 팔공산은 자연생태계와 자연경관, 문화경관 측면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붉은박쥐·매·수달 등 멸종위기종 15종을 포함해 야생생물 5296종이 서식하고 있다. 산봉 39곳과 기암 10곳, 계곡 19곳 등 자연경관자원도 77곳 분포해 있다. 특히 국가지정문화재 30점, 지방지정문화재 61점, 등록문화재 1점 등 문화자원 92점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는다. 팔공산은 북한산 다음으로 가장 풍부한 문화자원을 보유한 국립공원이 될 전망이다. 도립공원에서 국립공원으로 승격되면서 팔공산 공원구역 면적은 125.232㎢에서 126.058㎢로 0.826㎢(0.7%) 늘었다. 용도지구별로는 ‘공원자연환경지구’가 91.241㎢로 전체의 72.4%를 차지했으며 ‘공원자연보존지구’ 29.356㎢(23.3%), ‘공원마을지구’ 1.395㎢(1.1%), ‘공원문화유산지구’ 4.066㎢(3.2%)다. 국립공원 승격으로 보전 가치와 이용 가치가 상승함으로써 발생하는 경제적 가치는 2479억원으로 평가됐다. 팔공산을 찾는 탐방객은 358만명에서 458만명으로 28% 증가할 것으로 환경부는 내다봤다. 늘어나는 탐방객을 수용할 수 있도록 탐방로와 화장실, 주차장 야영장 등 13곳을 추가하면 총 115곳의 공원시설이 마련된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은 지난 2일 팔공산국립공원 관리준비단을 발족했으며 올해 하반기에는 지역사회와 함께 국립공원 승격 기념식을 개최하고 대구시·경북도와 공원관리 업무 인수·인계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오늘은 대구·경북 지역주민들 뿐만 아니라 국민들에게 새로운 국립공원을 선사하는 역사적인 날이다”며 “팔공산의 국립공원 지정을 통해 체계적인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 지역 발전이 조화를 이루는 공원관리의 본보기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
- 지역뉴스
- 영남
-
대구·경북의 자랑 ‘팔공산 ’, 국립공원으로 승격
-
-
경남도 박완수 도지사, 후쿠시마 오염수 적극 대응 주문
- <사진=경남도> [뉴스탑10 김인환 기자] 박완수 경상남도지사는 22일 오전 도청에서 실국본부장회의를 주재했다. 박 도지사는 “후쿠시마 오염수가 방류되면 지리적으로 가깝고 수산업의 중심지인 경남이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된다”며 “정부시찰단 활동과 연계해서 도의 입장과 대책을 알리고 적극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입학생 감소와 재정 부실을 겪고 있는 지방대학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과 관련해서는 “경남도가 대학 구조조정과 혁신을 이끌어내 대학들이 산업인력을 지속 육성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며 “현장의 애로사항을 듣고 전문가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해 대책을 논의하는 한편, 정부의 의대정원 확대계획에도 더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을 주문했다. 또, 지난주 김해 오수관 준설 중 발생한 사망 사고에 대해 안타까움을 표하며 “밀폐공간에서 작업 시 사전점검, 장비착용 등이 반드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해서, 두번 다시 이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건널목이 교차로에 붙어있어 우회전 차량 사각지대에 있는 어린이들이 사고를 많이 당하는 문제를 지적하며, 보행자 건널목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주문했다. 거제시가 노후‧파손된 목조 거북선을 경매로 헐값 매각한 것과 관련해 “관광자원 조성을 위해 거액의 예산을 투입해놓고 문제가 있다고 팔아버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수선을 해서 목적대로 사용하도록 했어야 했다”며 지자체의 조형물과 시설물들이 본연의 목적을 다할 수 있도록 철저히 관리할 것을 주문했다. 지자체가 투자유치와 지역개발을 위해 민간과 협약을 체결하거나 채무 보증을 하는 경우 신중을 기할 것을 당부했다. “업무미숙이나 밀실협약으로 지자체가 불리한 계약을 하거나 과도한 재정책임을 지는 사례가 없어야 한다”며 “철저한 분석과 전문가 자문을 반드시 거치도록 제도를 개선할 것”을 지시했다. 또한, 박 도지사는 도민에게 도움을 주고 실속 있는 사업들이 추진될 수 있도록 기재부, 국회 등을 대상으로 국비 확보에 만전을 기할 것을 주문하며, 우주항공청 설치 특별법 통과, 남해안 관광진흥 특별법 제정에도 힘쓸 것을 당부했다. 이어 시군의 대정부 건의활동을 도가 뒷받침할 것을 주문하며 “시군이 각개전투로만 나서면 전체적인 지역발전에 배치될 우려도 있다. 공공기관 이전, 케이블카 설치 등 현안에 대해 도가 조정자 역할을 하기 위해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올해에도 정어리떼 폐사 가능성이 나오고 있는 만큼, 해외 자원화 사례를 참고하고 시군, 유관기관과 협력할 것을 당부했다. 끝으로, 감사원과 행안부에서 민간단체 보조금 감사를 실시한 결과 도내에서도 일부 지적사례가 있었다며, 도민의 세금이 부정하게 집행되지 않도록 지도‧감독에 철저를 기할 것을 주문했다.
-
- 지역뉴스
- 영남
-
경남도 박완수 도지사, 후쿠시마 오염수 적극 대응 주문
-
-
경남 ‘금실’ 딸기, 수출 주역으로 급성장!
- 신선 딸기 수출 600억 원 시대, 이중 경남은 약 90%를 점유하고 있으며, 1990년대부터 경남도·시군 지원체계와 농업인의 열정이 이루어낸 성과이다. 딸기는 해외에서 한국을 상징하는 대표 농산물 중 하나이며, 새콤달콤한 풍미와 함께 희소가치가 더해져 프리미엄 K-푸드로 인식되고 있다.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일본 딸기를 수출했지만 2010년대는 국산 딸기 '매향'으로 바뀌었고, 2020년 이후에는 '금실' 딸기가 수출의 70%(400억 원)를 차지할 정도로 급격히 변화되었다. 금실 딸기는 경남농업기술원이 2016년 개발하였으며 당도가 높고 단단하며 11월부터 수확된다. ■ 수출을 위해 품종 개발 이전의 수출 딸기 ‘매향’은 당도가 높고 저장성은 좋으나, 수출이 본격화되는 1~2월에 기형과가 생겨 수출 물량 확보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수출 딸기와 같은 수준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기형과 발생이 적고 수량성이 높은 금실 딸기를 개발하여, 수출 농가에 보급하였다.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재배 매뉴얼을 3차 개정판까지 보급하면서 재배농가와 정보를 공유하였고, 양액처방, 현장 자문도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 현장에서도 적정 익힘 정도, 포장기술, 예냉방법 등을 품종 특성에 맞게 점차 개선해 나갔다. 이러한 노력으로 금실 딸기의 수출 점유율은 2020년 13%에서 2022년 70%까지 증가하였다. 경남도는 품종 보급을 위하여, 매년 무병 원원묘를 분양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8개 육묘업체와 438만 주의 통상실시 계약을 하였다. 또한 경남도, 농촌진흥청 시범사업도 실시중이다. 현재 전국에 440ha가 재배되고 있으며 200ha는 수출용이고 그 외는 내수용이다. ■ 로열티 비용?…로열티 받는 나라 금실 딸기는 미국 업체와 로열티(품종을 생산, 판매할 때 보호권자에게 지급되는 댓가) 계약을 체결하여, 2030년까지 88ha의 재배를 허락하고, 계약금 3천만 원과 한 포기당 15원의 정률 기술료(러닝로열티)를 받는다. 계약 조항에는 국내 딸기 농가를 보호하기 위해 한국 또는 한국이 수출하는 나라로는 수출을 금지하고, 미국 농림부에 품종보호권을 등록할 것을 명시하였다. 금실은 올해 4월, 미국 농림부에 품종보호권(권리자 경상남도)이 등록되었으며, 이는 국내 농작물 중 최초 사례이다. 미국과 계약자는 유리병에 든 손톱만 한 새끼 묘 10포기를 가지고 3년간의 고생 끝에 까다로운 검역 과정을 통과했다. 올해 첫 재배를 하여 LA, H-MART에서 시식회를 한 결과, 매우 긍정적인 시장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본격적으로 대량생산을 준비 중이다. 이제 금실은 딸기의 종주국인 미국, 일본과도 세계 무대에서 당당히 경쟁하게 되었다. 경상남도농업기술원(원장 정찬식)은 금실 딸기의 국내외 인기에 힘입어 재배면적이 확대됨에 따라, 무병 원원묘 공급량을 40% 증가시켜 무병모주 부족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계획이다. 농업기술원 윤혜숙 원예연구과장은 “수출에서 특히 문제가 되는 저온기 착색 불량과 월별 적정 수확 숙도 규명은 연구비를 확보하여 해결할 예정이며, 나아가 저온 유통 구축 등 안정적인 수출 기반 조성에 필요한 정책지원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 지역뉴스
- 영남
-
경남 ‘금실’ 딸기, 수출 주역으로 급성장!
실시간 영남 기사
-
-
대구·경북의 자랑 ‘팔공산 ’, 국립공원으로 승격
- 팔공산도립공원이 23번째 국립공원으로 승격됐다. 환경부는 23일 제138차 국립공원위원회를 열고 ‘팔공산국립공원 지정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2021년 5월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가 환경부에 팔공산국립공원 지정을 건의한 지 2년만, 1980년 5월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이후 43년만에 국립공원으로 승격된다. 국립공원으로는 지난 2016년 8월 태백산도립공원이 22번째로 승격한 뒤 7년 만이다. 2021년 9월부터 이듬해 10월까지 진행한 지정 타당성 조사에 따르면 팔공산은 자연생태계와 자연경관, 문화경관 측면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붉은박쥐·매·수달 등 멸종위기종 15종을 포함해 야생생물 5296종이 서식하고 있다. 산봉 39곳과 기암 10곳, 계곡 19곳 등 자연경관자원도 77곳 분포해 있다. 특히 국가지정문화재 30점, 지방지정문화재 61점, 등록문화재 1점 등 문화자원 92점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는다. 팔공산은 북한산 다음으로 가장 풍부한 문화자원을 보유한 국립공원이 될 전망이다. 도립공원에서 국립공원으로 승격되면서 팔공산 공원구역 면적은 125.232㎢에서 126.058㎢로 0.826㎢(0.7%) 늘었다. 용도지구별로는 ‘공원자연환경지구’가 91.241㎢로 전체의 72.4%를 차지했으며 ‘공원자연보존지구’ 29.356㎢(23.3%), ‘공원마을지구’ 1.395㎢(1.1%), ‘공원문화유산지구’ 4.066㎢(3.2%)다. 국립공원 승격으로 보전 가치와 이용 가치가 상승함으로써 발생하는 경제적 가치는 2479억원으로 평가됐다. 팔공산을 찾는 탐방객은 358만명에서 458만명으로 28% 증가할 것으로 환경부는 내다봤다. 늘어나는 탐방객을 수용할 수 있도록 탐방로와 화장실, 주차장 야영장 등 13곳을 추가하면 총 115곳의 공원시설이 마련된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은 지난 2일 팔공산국립공원 관리준비단을 발족했으며 올해 하반기에는 지역사회와 함께 국립공원 승격 기념식을 개최하고 대구시·경북도와 공원관리 업무 인수·인계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오늘은 대구·경북 지역주민들 뿐만 아니라 국민들에게 새로운 국립공원을 선사하는 역사적인 날이다”며 “팔공산의 국립공원 지정을 통해 체계적인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 지역 발전이 조화를 이루는 공원관리의 본보기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
- 지역뉴스
- 영남
-
대구·경북의 자랑 ‘팔공산 ’, 국립공원으로 승격
-
-
경남도 박완수 도지사, 후쿠시마 오염수 적극 대응 주문
- <사진=경남도> [뉴스탑10 김인환 기자] 박완수 경상남도지사는 22일 오전 도청에서 실국본부장회의를 주재했다. 박 도지사는 “후쿠시마 오염수가 방류되면 지리적으로 가깝고 수산업의 중심지인 경남이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된다”며 “정부시찰단 활동과 연계해서 도의 입장과 대책을 알리고 적극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입학생 감소와 재정 부실을 겪고 있는 지방대학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과 관련해서는 “경남도가 대학 구조조정과 혁신을 이끌어내 대학들이 산업인력을 지속 육성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며 “현장의 애로사항을 듣고 전문가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해 대책을 논의하는 한편, 정부의 의대정원 확대계획에도 더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을 주문했다. 또, 지난주 김해 오수관 준설 중 발생한 사망 사고에 대해 안타까움을 표하며 “밀폐공간에서 작업 시 사전점검, 장비착용 등이 반드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해서, 두번 다시 이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건널목이 교차로에 붙어있어 우회전 차량 사각지대에 있는 어린이들이 사고를 많이 당하는 문제를 지적하며, 보행자 건널목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주문했다. 거제시가 노후‧파손된 목조 거북선을 경매로 헐값 매각한 것과 관련해 “관광자원 조성을 위해 거액의 예산을 투입해놓고 문제가 있다고 팔아버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수선을 해서 목적대로 사용하도록 했어야 했다”며 지자체의 조형물과 시설물들이 본연의 목적을 다할 수 있도록 철저히 관리할 것을 주문했다. 지자체가 투자유치와 지역개발을 위해 민간과 협약을 체결하거나 채무 보증을 하는 경우 신중을 기할 것을 당부했다. “업무미숙이나 밀실협약으로 지자체가 불리한 계약을 하거나 과도한 재정책임을 지는 사례가 없어야 한다”며 “철저한 분석과 전문가 자문을 반드시 거치도록 제도를 개선할 것”을 지시했다. 또한, 박 도지사는 도민에게 도움을 주고 실속 있는 사업들이 추진될 수 있도록 기재부, 국회 등을 대상으로 국비 확보에 만전을 기할 것을 주문하며, 우주항공청 설치 특별법 통과, 남해안 관광진흥 특별법 제정에도 힘쓸 것을 당부했다. 이어 시군의 대정부 건의활동을 도가 뒷받침할 것을 주문하며 “시군이 각개전투로만 나서면 전체적인 지역발전에 배치될 우려도 있다. 공공기관 이전, 케이블카 설치 등 현안에 대해 도가 조정자 역할을 하기 위해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올해에도 정어리떼 폐사 가능성이 나오고 있는 만큼, 해외 자원화 사례를 참고하고 시군, 유관기관과 협력할 것을 당부했다. 끝으로, 감사원과 행안부에서 민간단체 보조금 감사를 실시한 결과 도내에서도 일부 지적사례가 있었다며, 도민의 세금이 부정하게 집행되지 않도록 지도‧감독에 철저를 기할 것을 주문했다.
-
- 지역뉴스
- 영남
-
경남도 박완수 도지사, 후쿠시마 오염수 적극 대응 주문
-
-
경남 ‘금실’ 딸기, 수출 주역으로 급성장!
- 신선 딸기 수출 600억 원 시대, 이중 경남은 약 90%를 점유하고 있으며, 1990년대부터 경남도·시군 지원체계와 농업인의 열정이 이루어낸 성과이다. 딸기는 해외에서 한국을 상징하는 대표 농산물 중 하나이며, 새콤달콤한 풍미와 함께 희소가치가 더해져 프리미엄 K-푸드로 인식되고 있다.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일본 딸기를 수출했지만 2010년대는 국산 딸기 '매향'으로 바뀌었고, 2020년 이후에는 '금실' 딸기가 수출의 70%(400억 원)를 차지할 정도로 급격히 변화되었다. 금실 딸기는 경남농업기술원이 2016년 개발하였으며 당도가 높고 단단하며 11월부터 수확된다. ■ 수출을 위해 품종 개발 이전의 수출 딸기 ‘매향’은 당도가 높고 저장성은 좋으나, 수출이 본격화되는 1~2월에 기형과가 생겨 수출 물량 확보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수출 딸기와 같은 수준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기형과 발생이 적고 수량성이 높은 금실 딸기를 개발하여, 수출 농가에 보급하였다.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재배 매뉴얼을 3차 개정판까지 보급하면서 재배농가와 정보를 공유하였고, 양액처방, 현장 자문도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 현장에서도 적정 익힘 정도, 포장기술, 예냉방법 등을 품종 특성에 맞게 점차 개선해 나갔다. 이러한 노력으로 금실 딸기의 수출 점유율은 2020년 13%에서 2022년 70%까지 증가하였다. 경남도는 품종 보급을 위하여, 매년 무병 원원묘를 분양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8개 육묘업체와 438만 주의 통상실시 계약을 하였다. 또한 경남도, 농촌진흥청 시범사업도 실시중이다. 현재 전국에 440ha가 재배되고 있으며 200ha는 수출용이고 그 외는 내수용이다. ■ 로열티 비용?…로열티 받는 나라 금실 딸기는 미국 업체와 로열티(품종을 생산, 판매할 때 보호권자에게 지급되는 댓가) 계약을 체결하여, 2030년까지 88ha의 재배를 허락하고, 계약금 3천만 원과 한 포기당 15원의 정률 기술료(러닝로열티)를 받는다. 계약 조항에는 국내 딸기 농가를 보호하기 위해 한국 또는 한국이 수출하는 나라로는 수출을 금지하고, 미국 농림부에 품종보호권을 등록할 것을 명시하였다. 금실은 올해 4월, 미국 농림부에 품종보호권(권리자 경상남도)이 등록되었으며, 이는 국내 농작물 중 최초 사례이다. 미국과 계약자는 유리병에 든 손톱만 한 새끼 묘 10포기를 가지고 3년간의 고생 끝에 까다로운 검역 과정을 통과했다. 올해 첫 재배를 하여 LA, H-MART에서 시식회를 한 결과, 매우 긍정적인 시장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본격적으로 대량생산을 준비 중이다. 이제 금실은 딸기의 종주국인 미국, 일본과도 세계 무대에서 당당히 경쟁하게 되었다. 경상남도농업기술원(원장 정찬식)은 금실 딸기의 국내외 인기에 힘입어 재배면적이 확대됨에 따라, 무병 원원묘 공급량을 40% 증가시켜 무병모주 부족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계획이다. 농업기술원 윤혜숙 원예연구과장은 “수출에서 특히 문제가 되는 저온기 착색 불량과 월별 적정 수확 숙도 규명은 연구비를 확보하여 해결할 예정이며, 나아가 저온 유통 구축 등 안정적인 수출 기반 조성에 필요한 정책지원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 지역뉴스
- 영남
-
경남 ‘금실’ 딸기, 수출 주역으로 급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