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APEC 식품안전협력포럼 의장국으로 식품안전 미래 주도
<식약처 제공>
【뉴스탑10=김인환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5월 12일부터 13일까지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식품안전협력포럼(FSCF)’을 개최하고, 지속 가능한 식품안전을 위한 글로벌 이슈를 본격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식품안전의 미래: 연결, 혁신, 번영을 통한 지속 가능한 식품안전 보장”을 주제로, APEC 14개 회원국 대표단과 국제기구, 국내 유관기관 등이 참석했으며, 식약처는 FSCF 의장국으로서 처음 포럼을 주도했다.
FSCF는 2007년 설립된 이후 아태지역 식품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목표로 매년 식품안전 규제, 표준, 시스템 구축에 관한 정보를 공유해오고 있으며, 이번 포럼은 본회의와 워크숍으로 나뉘어 이틀간 진행되었다.
첫째 날 본회의에서는 ▲FSCF 활동성과 ▲국제 협력 방안 ▲운영규정 개정 ▲식품안전 규제 경험 등을 중심으로 논의되었으며, 식약처는 AI 기반 위험 예측 시스템 ‘SAFE-i24’, QR코드 기반 식품정보 제공 플랫폼 ‘푸드QR’ 등 디지털 식품안전관리 혁신 사례를 공유해 주목받았다. 이와 함께 중국, 대만 등과의 투명한 식품정보관리 협력 사례도 소개됐다.
둘째 날 워크숍에서는 디지털 데이터 분석과 협업 기반 식품안전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3개 세션이 열려, ▲디지털 기술의 활용 ▲신규 이슈 대응을 위한 정보 통합 ▲다분야 협력을 통한 지속 가능한 번영 방안 등이 집중 논의되었다. 우리나라는 스마트 HACCP, 식중독 조기경보시스템 등 주요 정책을 소개했으며, 호주의 VIBE 시스템, 뉴질랜드의 환경영향 저해제 규제, 대만의 AI 기반 수입식품 안전관리 방안 등 각국 사례도 함께 발표됐다.
식약처 김성곤 식품안전정책국장은 “이번 FSCF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식품안전관리의 미래를 선도하고, 아태지역 협력을 더욱 강화하는 중요한 계기였다”며, “APEC의 가치인 ‘연결’, ‘혁신’, ‘번영’을 실천하며 글로벌 식품안전관리 선도국으로 나아가겠다”고 강조했다.